Surprise Me!

[뉴스나우] 한미관세 합의에 불확실성 감소...증시 급락 이유는? / YTN

2025-08-01 3 Dailymotion

■ 진행 : 윤보리 앵커
■ 출연 : 정철진 경제평론가

*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. 인용 시 [YTN 뉴스NOW] 명시해주시기 바랍니다.


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"관세가 미국을 다시 위대하게 만들고 있다"며 관세 협상에 대해 자화자찬했습니다. 우리나라도 협상을 통해 상호관세율이 15%로 낮아지며 기업들도 안도하고 있는 가운데 코스피는 급락했는데요.

정철진 경제 평론가와 함께 관련 내용 짚어봅니다. 안녕하십니까?

트럼프 미국 대통령, 관세가 미국을 다시 위대하게 했다. 지금 자화자찬에 나섰는데 전 세계에 매긴 관세율을 한번 살펴볼까요?

[정철진]
그렇습니다. 체결된 것들은 체결된 것으로 봤고요. 오늘 행정성명에 성명한 것은 난항을 겪었던 곳들을 트럼프 대통령이 자의적으로 기존에 경고도 했지만 발표를 한 것인데 눈에 들어오는 몇 가지 나라를 보도록 하겠습니다. 캐나다 같은 경우가 35%입니다. 실은 캐나다와 미국은 혈맹보다도 더 끈끈한 사이 아니겠습니까? 그런데 지금 협상은 완전히 틀어진 상태입니다. 특히 캐나다하고는 이후에 어떤 협상도 추가로 논의가 안 되고 있는 것 같거든요. 그래서 캐나다에 35%, 멕시코 같은 경우는 25%인데 멕시코는 그나마 낫습니다. 과거에 한때 나프타, 3개국이기는 한데 대통령이 굉장히 적극적으로 트럼프 대통령에 합의를 요청도 하고 합의도 되고 있어서 트럼프 대통령 측도 멕시코에는 25%로 시작을 하지만 좋은 결과가 있을 것이다라고 이야기를 했고 또 눈에 띄는 국가가 인도입니다. 인도는 25%를 부과를 했고 여기에 플러스알파 벌금이라든가 벌칙을 주겠다고 했는데 인도가 지금 러시아산 원유를 엄청 갖다 쓰고 있어요. 전체 수입액 중의 30%를 쓰고 있기 때문에 트럼프 대통령은 분명히 러시아산 원유 쓰지 말라고 했잖아요. 그런데 인도가 그걸 어기고 있어서 인도에도 일정 징벌적인 관세 매겼고, 25%를요. 제가 개인적으로 의문이었던 게 대만에 20%입니다. 실은 대만은 그렇게 미국과 척지는 것도 없고 미국 말도 잘 듣고요. 가장 빨리 타결될 줄 알았는데 아직까지 무엇 때문인지 타결이 안 됐었고 이에 20% 관세를 부과받았습니다. 특히 라이칭더 총통 같은 경우에는 너무나 친미 성향이 강해서 오히려 더 좋아라 할 줄 알았는데 하여튼 왜 미국과 대만의 ... (중략)

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508011315438008
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

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

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